본문 바로가기
과학 이야기

중학생) 눈의 종류에 대해 이야기하기

by a101 2025. 1. 31.
반응형

눈(雪, snow)은 대기 중의 수증기가 얼어 결정 형태로 내리는 강수(降水)의 한 종류입니다. 눈의 형태는 기온, 습도, 기압, 바람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하며, 크게 결정 구조, 내리는 방식, 쌓인 형태에 따라 분류할 수 있습니다.


1. 결정 구조에 따른 눈의 종류

눈은 육각형 구조를 기본으로 하지만, 형성되는 온도와 습도 조건에 따라 다양한 모양을 가집니다.

(1) 육각형 결정(Snowflakes, 눈송이)

  • 눈의 가장 대표적인 형태로, 기온과 습도에 따라 다양한 변화를 보임.
  • 온도가 약 **-12℃ ~ -16℃**일 때 가장 아름다운 육각형 결정을 형성함.
  • 물 분자가 결합하는 방식에 따라 별 모양, 나뭇가지 모양, 바늘 모양, 판 모양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남.

(2) 침상 결정(Needle Crystals, 바늘 모양 결정)

  • 온도 **-5℃ ~ -10℃**에서 형성됨.
  • 가늘고 긴 바늘처럼 보이며, 주로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 자주 나타남.

(3) 판상 결정(Plate Crystals, 판 모양 결정)

  • 온도 -2℃ ~ -5℃ 또는 -15℃ 이하에서 형성됨.
  • 평평하고 얇은 형태로 나타나며, 낮은 온도에서 더욱 잘 발달함.

(4) 기둥 결정(Columnar Crystals, 기둥 모양 결정)

  • 온도 **-5℃ ~ -10℃**에서 생성됨.
  • 육각형 기둥 모양을 가지며, 주로 높은 대기층에서 발견됨.

2. 내리는 방식에 따른 눈의 종류

(1) 싸락눈(Graupel, 작은 둥근 눈)

  • 눈 결정이 과냉각된(0℃ 이하의 액체 상태) 물방울과 충돌하여 형성됨.
  • 작은 둥근 모양으로 나타나며, 가볍고 부드러운 촉감을 가짐.

(2) 우박(Hail, 얼음 덩어리)

  • 강한 상승 기류에 의해 얼음 알갱이가 구름 속을 반복적으로 순환하며 점점 커짐.
  • 크기가 수 mm에서 수 cm까지 다양하며, 보통 여름철에 형성됨.

(3) 진눈깨비(Sleet, 비와 섞인 눈)

  • 기온이 영상과 영하를 오가는 환경에서 눈과 비가 섞여 내리는 형태.
  • 땅에 닿자마자 녹거나 얼어붙으며, 도로를 미끄럽게 만드는 원인이 됨.

(4) 함박눈(Heavy Snow, 큰 눈송이)

  • 비교적 높은 기온에서 눈 결정들이 서로 엉겨 붙어 큰 눈송이로 내림.
  • 무겁고 촉촉한 질감을 가지며, 쉽게 녹는 특징이 있음.

3. 쌓인 눈의 종류

(1) 신설(新雪, Fresh Snow)

  • 갓 내린 부드럽고 가벼운 눈.
  • 공기층이 많아 단열 효과가 뛰어나며,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밀도가 높아짐.

(2) 습설(Wet Snow, 젖은 눈)

  • 수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무겁고 잘 뭉쳐지는 눈.
  • 눈사람이나 눈싸움을 하기에 적합함.

(3) 건설(Dry Snow, 마른 눈)

  • 기온이 낮아 눈 속에 수분이 거의 없는 형태.
  • 가볍고 잘 흩날리며, 스키장 등에 적합한 눈.

4. 눈의 결정 형성 과정 (과학적 원리)

  1. 구름 속에서 온도가 영하로 내려가면 수증기가 작은 얼음 결정으로 변함.
  2. 얼음 결정이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며 점점 성장함.
  3. 기온과 습도에 따라 결정 모양이 달라짐.
  4. 성장한 눈 결정이 중력에 의해 지면으로 떨어짐.
  5. 지표면의 온도에 따라 녹거나 쌓이게 됨.

눈은 단순한 얼음 결정이 아니라, 기온과 습도의 미세한 변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 자연현상입니다. 눈의 결정 구조와 내리는 방식에 대해 이해하면 겨울철 눈을 더욱 흥미롭게 관찰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