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설 명절은 음력인데요. 음력에 대해 우리 아이들과 어떻게 이야기 나눌까요?
초등학생에게 음력과 양력을 설명할 때는 간단하고 생활과 연결된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게 좋아요. 아래는 친근하게 설명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우리에게는 달력이 있어서 날짜를 세고 약속을 정할 수 있지? 그런데 사실 달력은 두 가지가 있어! 하나는 우리가 지금 많이 쓰는 양력이고, 다른 하나는 옛날부터 써온 음력이야.
- 양력은 태양을 기준으로 만든 달력
양력은 '태양'이 기준이 되는 달력이야. 태양이 지구를 비추는 각도에 따라 계절이 바뀌지? 그걸 바탕으로 날짜를 정한 거야. 우리가 사용하는 1월부터 12월까지의 달력은 양력이야. 생일, 크리스마스 같은 날들도 다 양력으로 세지! - 음력은 달을 기준으로 만든 달력
음력은 '달'이 기준이 되는 달력이야. 달이 차고 기우는 모습(초승달, 보름달, 그믐달)을 보고 날짜를 정했지. 그래서 음력은 달마다 길이가 조금씩 달라. 예를 들어, 설날 같은 전통 명절은 보통 음력으로 정해져 있어. - 왜 두 개를 다 써?
옛날에는 음력을 많이 썼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태양을 기준으로 하는 양력이 더 편리해서 요즘은 양력을 더 많이 써. 하지만 설날이나 추석 같은 전통 명절은 음력을 기준으로 정해져 있어서, 두 달력을 다 써야 해!
쉽게 말하면, 양력은 태양, 음력은 달을 기준으로 한 달력이라고 기억하면 돼! 두 가지를 다 쓰는 게 조금 헷갈릴 수 있지만, 둘 다 우리 생활에 꼭 필요한 달력이야."
이렇게 설명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
'과학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학생) 알아두면 좋을 과학 트렌드 10가지 (2) | 2025.01.28 |
---|---|
중학생) 양력과 음력에 대해 이야기하기 (1) | 2025.01.27 |
중학생에게 양자역학 짧게 설명하기(1) (0) | 2025.01.24 |
초등학생에게 양자역학 짧게 설명하기(1) (1) | 2025.01.24 |
중학생에게 양자컴퓨터 설명하기(1) (0) | 2025.01.24 |
댓글